도비LOG(跳飛錄)

도비의 AI 엔지니어 도전기

알고리즘

[백준 5430] AC (골드5) Python 풀이

나쁜도비 2023. 4. 25. 10:49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5430

 

5430번: AC
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, 입력으로 주어진 정수 배열에 함수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. 만약,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error를 출력한다.

www.acmicpc.net


문제

선영이는 주말에 할 일이 없어서 새로운 언어 AC를 만들었다. AC는 정수 배열에 연산을 하기 위해 만든 언어이다. 이 언어에는 두 가지 함수 R(뒤집기)과 D(버리기)가 있다.

함수 R은 배열에 있는 수의 순서를 뒤집는 함수이고, D는 첫 번째 수를 버리는 함수이다. 배열이 비어있는데 D를 사용한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다.

함수는 조합해서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다. 예를 들어, "AB"는 A를 수행한 다음에 바로 이어서 B를 수행하는 함수이다. 예를 들어, "RDD"는 배열을 뒤집은 다음 처음 두 수를 버리는 함수이다.

배열의 초기값과 수행할 함수가 주어졌을 때, 최종 결과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입력

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T는 최대 100이다.

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수행할 함수 p가 주어진다. p의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

다음 줄에는 배열에 들어있는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. (0 ≤ n ≤ 100,000)

다음 줄에는 [x1,...,xn]과 같은 형태로 배열에 들어있는 정수가 주어진다. (1 ≤ xi ≤ 100)

전체 테스트 케이스에 주어지는 p의 길이의 합과 n의 합은 70만을 넘지 않는다.

출력
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, 입력으로 주어진 정수 배열에 함수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. 만약,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error를 출력한다.


풀이

  처음 떠올릴 수 있는 방법은 문제의 설명대로 R 함수와 D 함수를 선언하고, 들어오는 명령에 따라서 이를 처리하도록 구현하는 방법이다. 그러나 이렇게 할 경우 시간초과가 발생한다.

  RD의 관계를 잘 살펴보면 최적화 방법을 떠올릴 수 있다. D함수는 배열의 첫 번째 원소를 삭제하는 함수이다. 이때, D함수에 배열이 들어가기 전, 배열이 뒤집어져 있는 상태라면 원래 제일 마지막에 있던 원소가 삭제되게 되고, 배열이 뒤집어져 있지 않은 상태라면 배열의 첫 번째 원소를 그대로 삭제하게 된다. 즉, R함수를 구현해서 매번 배열을 뒤집을 작업을 할 필요가 없이, 이전에 R 명령이 있었는가 없었는가를 판별만 하고, D 함수 실행 시 이를 반영하면 된다. 이를 위해 배열이 뒤집어졌는가의 여부를 reverse_flag 라는 변수로 D함수에게 전달하면 된다.

# 백준 5430 AC 골드 5 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5430
# R: 배열 순서를 뒤집는다.
# D: 첫 번재 수를 버린다. 배열이 비어있다면 에러 발생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
def D(arr, reverse_flag):
    if not reverse_flag:
        arr.popleft()
    else:
        arr.pop()
    return arr

t = int(input())
for _ in range(t):
    p = input()
    p = p.replace("RR", "") # 두번 뒤집는 것 == 뒤집지 않는 것
    n = int(input())
    arr = deque(eval(input()))
    reverse_flag = False

    for command in p:
        if command == 'R':
            reverse_flag = not reverse_flag
        elif command == 'D':
            if arr:
                arr = D(arr, reverse_flag)
            else:
                print('error')
                break
    else:
        if reverse_flag:
            print(str(list(reversed(arr))).replace(' ', ''))
        else:
            print(str(list(arr)).replace(' ', ''))

  reverse_flag의 초기값으로 False를 부여해주고, R 명령이 들어올 때마다 reverse_flag를 바꿔준다. 그리고 D 명령이 들어오면 reverse_flag가 무엇이었는가에 따라서 popleft 혹은 pop을 수행해준다.

  마지막으로 출력을 해줄 때도, 마지막 명령이 R일 수 있으니, reverse_flag 상태에 따라서 출력값을 달리해준다. (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단순히 print(list(arr))을 하면 틀린다. 공백을 제거해줘야 정답 처리가 된다.)

728x90